귤
당근
자리돔
옥돔
땅콩
갈치
흑돼지
가파도청보리축제
들불축제
유채꽃 축제
보롬왓 축제
사려니숲 에코힐링 체험
휴애리 수국축제
한라산,
협재-함덕-표선 해수욕장
성산일출봉, 우도
섭지코지
월정리해변
비자림
천지연폭포
한라생태숲
오름(물영아리, 따라비, 용오름 등)
10,230,000명
(2020년 기준)
해양쓰레기, 주요관광지 훼손 문제, 난개발 등의 환경문제 발단
지구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아열대작물 생산 및 확대
지역농산물의 수요 예측과 다양성이 필요
- IT기술을 도입한 작물 관리 시스템이 필요
난개발과 지역 선주민, 이주민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필요
주요 인구밀집 지역의 도심 주차문제 심각
투어리스티피케이션(관광객 증가 및 외부인 유입으로 원주민들이 본래 거주지에서 쫓겨나는 현상) 현상 가속화
JDC : 루트330 지원사업 등 연 3회 이상 지원사업
제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 소셜부스터 지원사업, 상품경쟁력 지원사업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 로컬크리에이터, 예비창업패키지 등 창업진흥원 사업
제주영상문화진흥원 : 문화예술 분야, 창작 분야 지원사업
제주청년센터 : 청년 교육, 청년 진로 관련 교육 프로그램 및 진로 프로그램
제주소통협력센터 : 주민 문제 현안 및 커뮤니티 중심 지원사업 및 교육 제공
제주더큰내일센터 : 청년 기본 소득 지급을 통한 청년 창업, 창직, 취업 지원 기관
제주의 고유한 문화와 관광지가 아닌 자연 본래의 모습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제주의 환경을 지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과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주의 가치를 더 증진하기 위해 제주지역 뿐 아니라 다른 지역,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청년과 함께 고민하고 활동하여 더 많은 기회를 발굴하고 지속가능한 제주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여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지역을 이해하며 지역 생태계와 협업할 수 있는 청년들을 기다립니다.
마을 특성과 이주민, 선주민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지역에서 발생되는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기존 해결 방안에 대한 분석을 함께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이미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단체들과 협업하는데 열린 마음을 가지는 것도 중요합니다.
단발성이 아닌 장기적인 차원에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청년들을 기다립니다. 1회성 이벤트, 체험 프로그램의 수준이 아닌 중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서비스 및 제품, 프로그램을 고민하시는 분이면 좋겠습니다.